심리학(Psychology)

심리학이란 (2)?

yummy-i 2024. 9. 21. 00:00
반응형

심리학 철학 분야

심리학적의 처음 시작은 철학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것데 대한 해답을 찾는것은 실험에 의한 것이었기 때문에 심리학과 철학을 엄연히 다른 분야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심리학은 인간의 경험에 의한 것이 때문에 철학과는 확실히 다른 점이라 볼 수 있으며, 심리학에 관한 궁금증들은 해결하는 질문들은 미리 언급한 생리학이 가장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 당시에는 생리학적이라는 단어가 실험적 단어와 같이 섞여 사용되어 졌는데, 그래서 그 당시의 심리학이라는 단어는 실험심리학이라고 정의 되어서 불려지게 되었다.

심리학 뇌와 마음의 관계

프란츠 요제프 갈턴 의사는 사람의 뇌와 마음이 하나의 고리로 연결되어있다고 말했다. 그는 사망한 환자들 뇌를 조사해본 결과, 뇌가 커지면 정신적인 능력이 커지며, 뇌가 손상을 입게 되면 정신적인 능력이 감고하는것을 보았다. 그 결과를 그는 더욱더 깊숙히 연구에 매진한 결과 특별하게 지정된 정신능력에 대해서 조사해서 행복이나 여러가지의 심리선을 가진 것들이 뇌의 특정한 어떠한 부분에 있다는걸 창제하였다. 그 이후 폴 프로카 외과의사에 의해 그 정의는 좀 더 발전하게 되었으며, 이 부분이 뇌와 정신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연구하는데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심리학 기능주의와 구조주의

기능주의와 구조주의가 현대적 심리학의 시작이라고 보여지는데, 초기에 연구한 심리학은 스스로 연구하거나, 조수들 위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대표적인 예로는 에빙하우스의 망각곡선 실험이라고 할 수 있다. 처음엔 유럽을 중심으로 심리학이 발달하였으며, 그 이후 미국에 까지 전해지면서 세계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1892년 미국 심리학회가 창립되면서 심리학은 더욱더 기틀을 잡게 되었으며, 논문 작성 양식을 일컫는 APA스타일이 이 때 생긴 양식이다. 처음의 심리학은 구조주의라고 분트가 정의했다. 그는 마음이라 함은 어떤것으로 이루어져있는지가 항상 궁금했는데, 내성법으로 마음을 연구했는데, 이것은 자기 스스로를 보고 관찰하는 것이라 정의된다. 다른 말로는 뇌피셜이라고도 불려지고 있다. 다른 주장으로는 기능주의로 윌리엄 제임스가 주장한 정의이다. 그는 마음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보다는 마음이 어떤 식으로 기능하게 되는지를 궁금해했다. 이는 인지혁명과 연관지어서 볼 수도 있는데 나중엔 인지심리학으로 불려졌다.

반응형

'심리학(Psyc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이란? (1)  (0) 2024.09.01